본문 바로가기
Tutorial/Big Data & ML

2025년도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자격 시험 일정, 접수 방법과 시험준비 및 합격 방법

by CLJ 2025. 3. 24.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자격증 시험의 일정, 접수방법과 시험 내용, 그리고 시험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험 일정 및 접수하기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 시험은 1년에 4번 시행되고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서 누구나 응시할 수 있습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시험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자격시험 공식 사이트 에서 자격증 시험 관련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분석 시험일정
2025년도 데이터분석 시험일정 (www.dataq.or.kr)

 

 
시험 접수를 하려면 우선 데이터 자격검정 사이트(www.dataq.or.kr)에 회원가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시험 접수기간 등 시험일정은 위의 표를 참고하시고 데이터 자격검정 사이트에서 시험접수 메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시험 접수는 시작하는 날짜의 오전 10시부터 시작됩니다. 접수마감일 6시까지이지만 첫 날 10시 전부터 준비하셔서 접수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늦게 접수하면 원하는 고사장에 자리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시험 접수비는 50,000원입니다. 아직 회원 가입을 하지 않으셨다면 시험 접수일 전에 회원 가입을 하셔서 시험 접수 시작할 때 바로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회원가입을 미리 하시면 고사장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 접수하시기 전에 미리 고사장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시험 내용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시험은 필기시험만 있습니다. PBT(Paper Based Test) 방식으로 종이로 시험을 봅니다. 시험 시간은 90분이고, 시험 과목은 데이터 이해(1과목), 데이터 분석 기획(2과목), 데이터 분석(3과목)으로 구성되어 총 3과목입니다.

 

단답형 주관식이 있었지만 현재는 주관식은 없어지고 객관식만 출제됩니다. 총 50문제가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합격 기준은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하고, 과락 기준은 과목별로 40% 미만 취득입니다. 총점이 60점이 안되거나 3과목 중에서 한 과목이라도 과목 점수가 40% 미만이면 불합격입니다. 1과목과 2과목은 각각 10문제이고, 3과목은 30문제, 1문당 2점 배점입니다. 과락이 있기 때문에 1과목과 2과목도 공부를 해야 합니다. 
 

시험 준비

 

교재는 민트책이라고 불리는 아래 교재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이 시험이 시작된 초반에는 내용이 충분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기출이 쌓여서 내용이 많습니다.

ADsP 교재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교재

 
비전공자라면 새로운 용어가 많기 때문에 동영상을 참고할 수도 있습니다. 교재에 무료 동영상이 있어서 어려운 부분은 참고할 수 있습니다. 교재나 다른 동영상 등 본인에게 맞는 자료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카페는 전문가포럼 네이버 카페가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곳입니다. 저는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기출문제 등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준비기간 및 합격 방법

 

저는 3주 정도 시험 준비를 했고, 교재와 참고 동영상을 보면서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해서 합격했습니다.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책을 일독했고,  두 번째로는 책에 있는 기출 위주로 풀어 보면서 모르는 부분을 확인하는 정도로 교재를 활용했습니다.
 
개개인의 차이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전공자는 1~2주 정도, 비전공자는 한 달 정도의 기간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합격을 위해서는 1과목과 2과목은 암기 과목이기 때문에 반드시 주요 개념들을 익히시고 인터넷에 요약을 검색하셔서 다운로드 받으시거나 내용 추가하셔서 공부합니다. 3과목의 경우에는 어려운 부분은 교재나 동영상을 참고합니다. 기출문제를 풀면서 내용을 파악합니다. 배경지식과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 적합한 자료를 선택하시고 기출문제는 반드시 풀어보시고, 교재, 동영상, 카페가입이 필수는 아니지만 개인의 이해정도에 따라서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4년부터 주관식이 없어지고 객관식만으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기출문제를 답만 풀지 말고 기출문제에 나온 개념을 이해하시면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비전공자라면 처음에는 용어도 익숙치 않고 매우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론 공부를 자세히 깊이 있게 공부하기보다는 전반적인 이론을 훑어보시고 시험문제인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를 풀면서 모르는 부분은 교재나 동영상 등을 통해 복습합니다.

 

2025.04.20 - [Tutorial/Big Data & ML] - ADsP 3과목 데이터 분석, 자주 나오는 핵심 개념 TOP 10 정리

 

ADsP 3과목 데이터 분석, 자주 나오는 핵심 개념 TOP 10 정리

ADsP 시험의 세 번째 과목인 데이터 분석은 단순 정의만 외워서는 풀 수 없는 문제들이 많고, 시험에서 유사 개념 비교로 수험생들이 헷갈려하고 비전공자 기준으로 과락률이 은근히 높은 영역이

it-learner.tistory.com

 

2024.07.24 - [Data & ML/Big Data & ML] - ADP, ADsP, 빅분기 자격증 시험, 응시자격, 난이도

 

ADP, ADsP, 빅분기 자격증 시험, 응시자격, 난이도

ADP, ADsP,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기사(빅분기) 시험은 모두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자격증 시험입니다. 그러나 각 시험은 초점과 난이도가 다릅니다. 아래에서 각 자격증 시험과 난이도에 대해 자세

it-learn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