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utorial/Big Data & ML

머신 러닝 프로세스 이해하기

by CLJ 2024. 6. 30.

머신 러닝 프로젝트는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복잡한 과정입니다.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배포와 유지 보수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는 성공적인 머신 러닝 설루션을 만드는 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 모델 선택과 훈련, 모델 평가와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모델 배포 및 유지 보수의 다섯 가지 주요 단계를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데이터 수집 및 준비

 

데이터 수집 및 준비 단계에서 충분하고 적절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데이터의 질과 양이 모델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과정은 모든 머신 러닝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data collection)은 머신 러닝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모델을 훈련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합니다. 데이터 수집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 기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내부의 고객 데이터, 거래 기록, 생산 데이터 등을 포함합니다.

  2. 웹 크롤링: 웹 크롤링(web crawling)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텍스트 데이터나 이미지를 수집하는 데 사용됩니다.

  3. API: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나 금융 데이터 제공자의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센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나 센서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경 모니터링, 스마트 홈, 건강 관리 등에서 사용됩니다.

  5. 수동 입력: 필요한 데이터를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설문조사나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은 머신 러닝의 첫 번째 단계로, 모델을 훈련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모으는 과정입니다. 데이터는 여러 출처에서 수집될 수 있으며, 이는 센서, 데이터베이스, 웹 크롤링, API 등을 통해 가능합니다. 데이터의 양과 질이 모델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많은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수집 후에는 데이터를 준비해야 합니다. 데이터 준비는 데이터의 형식을 통일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통합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소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하나의 일관된 형식으로 결합하거나, 텍스트 데이터를 숫자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는 머신 러닝 프로젝트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종종 불완전하고, 오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형식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정리하고 변환하여 모델 학습에 적합한 형태로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정제

데이터 정제(data cleaning)는 데이터셋에서 불완전하거나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수정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 수행되는 주요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누락값 처리: 데이터셋에는 종종 누락된 값(missing values)이 존재합니다. 누락값을 처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데이터의 특성과 문제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평균, 중간값, 최빈값 등으로 대체하거나, 누락값을 포함하는 행을 제거하는 것이 있습니다.

  2. 중복 데이터 제거: 데이터셋에 중복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중복 데이터는 분석 결과에 왜곡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복 데이터를 식별하고 제거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3. 이상치 처리: 이상치(outliers)는 데이터셋에서 다른 데이터와 크게 벗어난 값을 의미합니다. 이상치는 모델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예측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상치를 식별하고, 이를 제거하거나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변환

데이터 변환(data transformation)은 데이터를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포함됩니다.

  1. 형식 변환: 데이터를 일관된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예를 들어, 날짜 데이터를 일관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텍스트 데이터를 숫자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형식 변환은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2. 스케일링: 피처 스케일링(feature scaling)은 모든 피처의 값을 일정한 범위로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모델의 학습 속도를 높이고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인 스케일링 방법으로는 정규화(normalization)와 표준화(standardization)가 있습니다. 정규화는 데이터를 0과 1 사이의 값으로 조정하며, 표준화는 데이터를 평균 0, 분산 1의 값으로 변환합니다.

  3. 인코딩: 범주형 데이터를 숫자형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입니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을 0과 1로 변환하거나, 여러 카테고리를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인코딩은 머신 러닝 모델이 범주형 데이터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데이터 통합

데이터 통합(data integration)은 여러 출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하나의 일관된 데이터셋으로 결합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데이터 변환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데이터 통합은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고, 분석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합니다.

데이터 전처리 도구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데이터 전처리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andas: Python 기반의 데이터 분석 도구로,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Pandas는 데이터 정제, 변환, 통합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2. NumPy: Python에서 수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로, 고성능의 다차원 배열 객체를 제공합니다. NumPy는 데이터 변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OpenRefine: 데이터 정제 및 변환 작업을 시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도구로, 대규모 데이터셋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OpenRefine는 다양한 데이터 정제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Apache Spark: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분산 컴퓨팅 시스템으로,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 작업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Spark는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빅데이터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는 머신 러닝 프로젝트의 성공에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데이터 정제 과정을 통해 누락값, 중복 데이터, 이상치를 처리하고, 데이터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 변환, 스케일링, 인코딩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데이터 전처리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깨끗하고 일관된 데이터를 준비함으로써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024.07.01 - [Machine Learning] - 데이터 전처리의 중요성과 방법

 

데이터 전처리의 중요성과 방법

데이터 전처리는 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 모델의 성능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정제, 데이터 변환(스케일링, 정규화 등), 그리고 결측값 처리 및 데이터 증강

it-learner.tistory.com

 

 

3. 모델 선택과 훈련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훈련시키는 과정은 최종 예측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모델 선택(model selection)은 데이터의 특성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가장 적합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각 알고리즘은 특정 문제 유형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모델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제 유형: 예측하려는 문제가 분류(classification)인지, 회귀(regression)인지, 아니면 군집화(clustering)나 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인지에 따라 적합한 알고리즘이 다릅니다.

  2. 데이터 특성: 데이터셋의 크기, 차원 수, 피처의 종류(연속형, 범주형 등), 데이터 분포 등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3. 성능 요구 사항: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 점수 등 평가 지표와 모델의 예측 속도, 메모리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모델 유형

다양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있으며, 각 알고리즘은 특정 문제에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모델 유형을 소개합니다.

  1. 선형 모델:
    •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연속형 목표 변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의 피처와 목표 변수 간의 선형 관계를 모델링합니다.
    •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이진 분류 문제에서 사용되며, 피처와 목표 변수 간의 관계를 시그모이드 함수로 모델링합니다.

  2. 의사결정 나무(decision tree): 데이터의 피처를 기반으로 분기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트리 구조의 모델입니다. 직관적이고 해석이 용이하지만, 과적합(overfitting)되기 쉽습니다.

  3. 앙상블 모델:
    •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여러 개의 의사결정 나무를 앙상블하여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모델입니다. 과적합을 줄이고,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 그래디언트 부스팅(gradient boosting): 약한 학습기(weak learner)를 순차적으로 학습시켜 성능을 개선하는 모델입니다.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지만, 학습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4.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고차원 공간에서 데이터를 분리하는 초평면을 찾아 분류하는 모델입니다. 작은 데이터셋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대규모 데이터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5. 신경망(neural network) 및 딥러닝(deep learning): 복잡한 비선형 관계를 모델링할 수 있는 강력한 알고리즘입니다. 대규모 데이터와 계산 자원이 필요하며,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에 적합합니다.

모델 훈련

모델 훈련(training)은 선택한 모델이 주어진 데이터셋을 통해 패턴을 학습하고, 예측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모델 훈련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데이터 분할: 데이터셋을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와 테스트 데이터(test data)로 분할합니다. 훈련 데이터는 모델 학습에 사용되고, 테스트 데이터는 모델 평가에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70-80%의 데이터를 훈련에, 나머지를 테스트에 사용합니다.

  2. 모델 초기화: 선택한 모델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선형 회귀 모델의 경우 가중치(weight)와 절편(intercept)을 초기화합니다.

  3. 모델 학습: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모델은 피처와 목표 변수 간의 관계를 학습하고, 손실 함수(loss function)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합니다. 학습 과정은 여러 번의 반복(에포크, epoch)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4. 교차 검증: 모델의 성능을 더욱 신뢰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교차 검증(cross-validation)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교차 검증은 데이터를 여러 번 나누어 훈련과 테스트를 반복하여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5. 조기 종료: 학습 도중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조기 종료(early stopping)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검증 데이터(validation data) 성능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을 때 학습을 멈추는 방법입니다.

모델 선택과 훈련은 머신 러닝 프로젝트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시킴으로써 높은 예측 성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모델 선택 시 문제 유형, 데이터 특성, 성능 요구 사항을 고려하고, 모델 훈련 과정에서 데이터 분할, 초기화, 학습, 교차 검증, 조기 종료 등의 단계를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머신 러닝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4. 모델 평가와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모델 평가와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은 머신 러닝 프로젝트에서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모델 평가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통해 모델의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모델 평가

모델 평가(model evaluation)는 훈련된 모델이 새로운 데이터에서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측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확인하고, 과적합(overfitting)과 과소적합(underfitting)을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모델 평가에는 다양한 방법과 지표가 사용됩니다.

평가 방법

  1. 훈련/테스트 분할: 데이터셋을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와 테스트 데이터(test data)로 분할하여 평가합니다. 훈련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시키고, 테스트 데이터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합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셋의 70-80%를 훈련에, 나머지를 테스트에 사용합니다.

  2. 교차 검증(cross-validation): 데이터를 여러 번 나누어 훈련과 테스트를 반복하여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교차 검증 기법으로는 k-겹 교차 검증(k-fold cross-validation)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k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한 번씩 테스트 세트로 사용하고 나머지를 훈련 세트로 사용합니다.

평가 지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가 사용됩니다. 문제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지표를 선택해야 합니다.

  1. 분류 문제:
    • 정확도(accuracy): 전체 예측에서 올바르게 예측한 비율을 측정합니다.
    • 정밀도(precision): 양성으로 예측한 샘플 중 실제 양성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 재현율(recall): 실제 양성 샘플 중 양성으로 예측한 비율을 측정합니다.
    • F1 점수(F1 score):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 평균을 계산하여 모델의 균형 잡힌 성능을 평가합니다.
    • ROC-AUC: 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ROC 곡선) 아래 면적(AUC)을 계산하여 분류기의 성능을 평가합니다.

  2. 회귀 문제:
    •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d error, MSE):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제곱한 후 평균을 구한 값입니다.
    • 평균 절대 오차(mean absolute error, MAE):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의 절대값을 평균한 값입니다.
    •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모델이 데이터 변동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하이퍼파라미터 튜닝(hyperparameter tuning)은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하이퍼파라미터는 모델 학습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는 변수로, 모델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튜닝 방법

  1. 그리드 서치(grid search): 사용자가 지정한 하이퍼파라미터 값들의 조합을 모두 탐색하여 최적의 값을 찾는 방법입니다. 모든 조합을 평가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2. 랜덤 서치(random search): 하이퍼파라미터 공간에서 무작위로 일부 조합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그리드 서치보다 계산 비용이 적고, 대규모 하이퍼파라미터 공간에서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3. 베이지안 최적화(Bayesian optimization): 이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평가할 하이퍼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그리드 서치와 랜덤 서치보다 적은 평가로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하이퍼밴드(Hyperband): 랜덤 서치와 베이지안 최적화의 장점을 결합한 방법으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찾습니다.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단계

  1. 하이퍼파라미터 선택: 튜닝할 하이퍼파라미터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의사결정 나무의 깊이(max depth), 랜덤 포레스트의 트리 개수(n_estimators), 신경망의 학습률(learning rate) 등이 있습니다.

  2. 탐색 공간 정의: 각 하이퍼파라미터의 범위와 값들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률의 범위를 0.001에서 0.1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탐색 방법 선택: 그리드 서치, 랜덤 서치, 베이지안 최적화 등 적절한 탐색 방법을 선택합니다.

  4. 모델 평가 및 선택: 각 하이퍼파라미터 조합에 대해 모델을 학습시키고, 교차 검증을 통해 성능을 평가합니다. 최적의 성능을 보이는 하이퍼파라미터 조합을 선택합니다.

모델 평가와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은 머신 러닝 프로젝트에서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모델 평가를 통해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신뢰성 있고 강력한 머신 러닝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5. 모델 배포 및 유지 보수

머신 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훈련시킨 후에는 이를 실제 환경에 배포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모델 배포 및 유지 보수 단계는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모델 배포의 과정과 주의사항, 그리고 유지 보수 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모델 배포

모델 배포(model deployment)는 개발된 머신 러닝 모델을 실제 운영 환경에 적용하고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모델 배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1. 환경 설정: 모델이 실행될 운영 환경을 준비합니다. 이 환경은 모델이 처리할 데이터의 유형과 양, 처리 속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2. 모델 패키징: 모델을 실행 가능한 형태로 패키징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모델을 파일로 저장하고,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함께 컨테이너(container)화하여 배포합니다.

  3. API 개발: 모델에 접근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개발합니다. API는 모델의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RESTful API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4. 테스트: 배포 전에 모델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테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 결과를 비교하고, 예상치 못한 오류나 성능 저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5. 배포: 모델을 실제 운영 환경에 배포하고, API를 통해 외부 시스템이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여 확장성 있는 배포를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델 유지 보수

모델을 배포한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유지 보수가 필요합니다. 실제 환경에서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검과 조치가 필요합니다.

  1. 모니터링: 모델의 성능, 예측 정확도, 처리 속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나 성능 저하를 신속히 감지합니다.

  2. 데이터 업데이트: 모델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적응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모델을 재학습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3. 성능 최적화: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나 모델 구조의 변경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여지를 탐색합니다. 예를 들어, GPU를 사용한 병렬 처리를 통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버전 관리: 모델의 각 버전을 관리하고, 새로운 버전 배포 시에는 롤백 계획을 포함한 안정적인 배포 전략을 마련합니다.

  5. 보안 강화: 모델과 데이터의 보안을 강화하고, 외부 공격이나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조치를 수립합니다.

실제 환경에서 모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적절한 배포 전략과 지속적인 유지 보수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모델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며, 비즈니스 가치를 올리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